* imx8mq Yocto 빌드 환경이 Qt용으로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. (이전 글 참조)
설치된 Qt 예제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작업용 디렉토리로 옮긴다.
Qt 예제 프로그램의 위치는 아래와 같다.
/home/user/work/imx-yocto-bsp/build-xwayland/tmp/work/aarch64-mx8m-poky-linux/qtbase/5.15.0+gitAUTOINC+f6fe4bbab7-r0/git/examples/
여기서는 "/gui/rasterwindow" 예제를 사용한다.
여기서 사용한 작업용 디렉토리는 "/home/user/work/imx-yocto-bsp/project/" 이다.
cp -r /home/user/work/imx-yocto-bsp/build-xwayland/tmp/work/aarch64-mx8m-poky-linux/qtbase/5.15.0+gitAUTOINC+f6fe4bbab7-r0/git/examples/gui/rasterwindow /home/user/work/imx-yocto-bsp/project
복사한 "rasterwindow" 디렉토리 안에 build.sh 파일을 생성하고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.
#!/bin/sh
PRO_FILE=rasterwindow.pro
/opt/fsl-imx-xwayland/5.4-zeus/sysroots/x86_64-pokysdk-linux/usr/bin/qmake $PRO_FILE -spec /opt/fsl-imx-xwayland/5.4-zeus/sysroots/aarch64-poky-linux/usr/lib/mkspecs/linux-aarch64-gnu-g++
"build.sh" 파일을 실행하면 "Makefile"이 생성된다.
"make"를 실행하면 imx8mq에서 실행되는 "rasterwindow" 실행 파일이 생성된다.
"rasterwindow" 디렉토리를 보면 rasterwindow.pro와 rasterwindow.pri 파일이 있다.
각 파일은 다음과 같다.
- .pro (Qt Project File)Qt Creator로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"프로젝트이름.pro" 파일이 생성된다. ".pro" 파일은 Qt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파일이고, qmake는 ".pro"파일을 가지고 Makefile를 생성한다.
- .pri (Qt Project Include File)".pro" 파일의 형식과 동일하고 프로젝트 포함 파일이다. 공통적으로 필요한 환경을 ".pri" 파일에 작성하고 ".pro" 파일에서 "include(.pri 파일 경로)" 또는 "include($$PWD/.pri)" 포함하여 사용한다. ".pro" 파일에서 ".pri" 파일을 포함할 수 있지만, ".pri" 파일에서 ".pro" 파일을 포함할 수는 없다.
qmake는 Makefile 생성을 자동화하는 유틸리티이자 빌드 자동화 시스템이다.
자세한 정보는 qmake 매뉴얼에서 확인한다.
'일반 개발 리소스 > WSL2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SL2 Ubuntu Terminal에 powerlevel10k 적용 (0) | 2022.05.26 |
---|---|
imx8mq Yocto 빌드 환경 설정 및 기본 빌드 (0) | 2022.03.25 |
WSL2에서 Ubuntu 20.04LTS 설치 및 기본 설정 (0) | 2022.03.25 |
* imx8mq Yocto 빌드 환경이 Qt용으로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. (이전 글 참조)
설치된 Qt 예제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작업용 디렉토리로 옮긴다.
Qt 예제 프로그램의 위치는 아래와 같다.
/home/user/work/imx-yocto-bsp/build-xwayland/tmp/work/aarch64-mx8m-poky-linux/qtbase/5.15.0+gitAUTOINC+f6fe4bbab7-r0/git/examples/
여기서는 "/gui/rasterwindow" 예제를 사용한다.
여기서 사용한 작업용 디렉토리는 "/home/user/work/imx-yocto-bsp/project/" 이다.
cp -r /home/user/work/imx-yocto-bsp/build-xwayland/tmp/work/aarch64-mx8m-poky-linux/qtbase/5.15.0+gitAUTOINC+f6fe4bbab7-r0/git/examples/gui/rasterwindow /home/user/work/imx-yocto-bsp/project
복사한 "rasterwindow" 디렉토리 안에 build.sh 파일을 생성하고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.
#!/bin/sh
PRO_FILE=rasterwindow.pro
/opt/fsl-imx-xwayland/5.4-zeus/sysroots/x86_64-pokysdk-linux/usr/bin/qmake $PRO_FILE -spec /opt/fsl-imx-xwayland/5.4-zeus/sysroots/aarch64-poky-linux/usr/lib/mkspecs/linux-aarch64-gnu-g++
"build.sh" 파일을 실행하면 "Makefile"이 생성된다.
"make"를 실행하면 imx8mq에서 실행되는 "rasterwindow" 실행 파일이 생성된다.
"rasterwindow" 디렉토리를 보면 rasterwindow.pro와 rasterwindow.pri 파일이 있다.
각 파일은 다음과 같다.
- .pro (Qt Project File)Qt Creator로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"프로젝트이름.pro" 파일이 생성된다. ".pro" 파일은 Qt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파일이고, qmake는 ".pro"파일을 가지고 Makefile를 생성한다.
- .pri (Qt Project Include File)".pro" 파일의 형식과 동일하고 프로젝트 포함 파일이다. 공통적으로 필요한 환경을 ".pri" 파일에 작성하고 ".pro" 파일에서 "include(.pri 파일 경로)" 또는 "include($$PWD/.pri)" 포함하여 사용한다. ".pro" 파일에서 ".pri" 파일을 포함할 수 있지만, ".pri" 파일에서 ".pro" 파일을 포함할 수는 없다.
qmake는 Makefile 생성을 자동화하는 유틸리티이자 빌드 자동화 시스템이다.
자세한 정보는 qmake 매뉴얼에서 확인한다.
'일반 개발 리소스 > WSL2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SL2 Ubuntu Terminal에 powerlevel10k 적용 (0) | 2022.05.26 |
---|---|
imx8mq Yocto 빌드 환경 설정 및 기본 빌드 (0) | 2022.03.25 |
WSL2에서 Ubuntu 20.04LTS 설치 및 기본 설정 (0) | 2022.03.2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