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 전체보기

NXP i.MX SoC Family/i.MX Linux Reference Manual

i.MX Linux Reference Manual (IMXLXRM)

문서 정보 Information Content Keywords i.MX, Linux, LF5.15.52_2.1.0 Abstract i.MX 제품군 Linux BSP(Board Support Package)는 i.MX Application Processor에서 Linux OS(Operating System)를 지원한다. 목차 (Contents) Introduction Overview Audience References System Machine-Specific Layer (MSL) System Controller Boot Image Anatop Regulator Driver Power Management OProfile Pulse-Width Modulator (PWM) Remote Processor Mes..

NXP i.MX SoC Family/Evaluation Kit for the i.MX 8M Plus

i.MX 8M Plus 개발 환경 구축 - Yocto Project 설정

[이전] [목차] [다음] Yocto Project 설정 다음 커맨드를 사용하여 Git를 설정을 한다. $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Your Name" $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Your Email" $ git config --list 참고 git global 정보(user.name, user.email)를 설정하지 않아도 작업을 진행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. Gerrit 코드 검토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필요한 정보이다. 프로젝트에 사용할 디렉터리를 생성한다. (디렉터리를 생성할 수 있는 어떠한 이름도 사용할 수 있다.) 여기에서는 IMXLXYOCTOUG 문서와 같이 "imx-yocto-bsp"란 디렉터리 이름을 사용한다. 작업을 ..

NXP i.MX SoC Family/Device Trees

Introduction to Device Trees - Examples

11 Examples 예를 들어 Power Architecture®에서 디바이스 트리는 arch/powerpc/boot/dts에 있다. ARM® 아키텍처에서 디바이스 트리는 현재 arch/arm/boot/dts에 있다. 다음 섹션은 P2020와 LS1021A-TWR 두 가지 Freescale 제품에 대한 DTS와 DTSI 파일의 주석 처리된 예이다. 참고 간결함을 위해 특정 섹션만 아래에 요약되어 있다. 11.1 P2020 example 다음은 P2020 RDB에 대한 디바이스 트리의 예제 섹션이다. 이 특정 DTS 파일은 여러 DTSI 포함 파일을 사용한다. 11.1.1 P2020rdb.dts 이 테이블은 P2020 보드를 기술하는 P2020rdb.dts 파일을 보여준다. Table 1. P2020rd..

NXP i.MX SoC Family/Device Trees

Introduction to Device Trees - Linux

10 Linux 10.1 Reading the flattened device tree (FDT) 커널 구성 옵션에 CONFIG_PROC_DEVICETREE가 설정되어 있으면, 부팅 후 /proc 파일 시스템 내에서 커널이 파싱한 실제 디바이스 트리를 볼 수 있다. 예를 들어, /proc/device-tree 아래의 모든 노드에 대해 찾기를 실행할 수 있다: [root@p4080ds]# cd /proc/device-tree [root@p4080ds]# find . ./name [...] ./model ./fsl,dpaa/ethernet@0/fsl,qman-channel [...] ./soc@ffe000000/fman@500000/ethernet@f0000/phy-connection-type [...] ./..

NXP i.MX SoC Family/Device Trees

Introduction to Device Trees - U-Boot

9 U-Boot RCW(reset configuration word), 환경 변수, 하드웨어 구성에서 파생된 정보와 같은 플랫폼 지정 정보로, U-Boot는 FDT(Flattened Device Tree)를 업데이트한다. U-Boot가 접근하는 가장 일반적인 영역은 주파수, MAC 주소, LIODN (Peripheral MMU 설정), 그리고 메모리 크기와 연관되어 있다. 실제 수정은 지정 보드에 따라 다르며, U-Boot 코드 이외의 다른 위치에는 문서화되어 있지 않다. U-Boot 내에서, 이 모든 일이 발생하는 주요 함수는 ft_board_setup()이다. U-Boot 자체는 현재 Freescale 플랫폼에서 디바이스 트리를 사용하지 않지만, FDT 자체를 보고 조작할 수 있는 몇 가지 명령이 있..

까마귀75
'분류 전체보기' 카테고리의 글 목록 (27 Page)